알아두면 쓸모 있는 야구 잡학 사전 3편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WAR이란?
WAR은 세이버메트릭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인데요. Wins Above Replacement의 줄임말로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하면, 평범한 선수(대체 선수) 대비 특정 선수가 얼마나 팀에 승리를 가져다 줄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B 선수 대신 A 선수가 얼마나 팀에 승리를 가져다 줄 수 있는지를 말하는 것인데요. 이 경우 나오는 WAR 수치는 A 선수에 대한 WAR 수치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야구 경기에는 상당히 많은 요소들이 이루어져 승/패가 나뉘는데요. 이렇기에 WAR 공식은 매우 복잡합니다. 야구 기록 사이트인 스탯티즈나 KBreport 등 기록 사이트의 WAR 공식은 외부로 알려진 바가 없는데요.
타자의 경우 공격 기여도, 수비 기여도, 주루 기여도, 포지션 조정 값, 리그 조정 값, 시즌 조정 값이 들어가고, 투수의 경우 bWAR(실제 실점 기반)과 fWAR(FIP 기반)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각 요소들의 공식을 알 수 없지만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타자 WAR 요소
1) 공격 기여도(Offensive Runs)
- 주로 wOBA(가중 출루율)과 wRC+(조정 가중 득점 생산력)을 기반으로 계산
- 타자의 공격력을 리그 평균 및 구장 별 파크 팩터에 맞춰 조정
2) 수비 기여도(Defensive Runs)
- Outs Above Average(OAA), DRS(수비 기여 점수), UZR(수비 영역 점수) 등과 같은 지표를 통해 수비력을 평가
- 포지션별 수비 기여도와 비교
3) 주루 기여도(Baserunning Runs)
- 주로 UBR(주루 점수), SB/CS(도루와 도루 실패) 등을 포함
4) 포지션 조정(Positional Adjustment)
- 각 포지션별로 가치가 다르므로, 이를 조정
예) 수비력이 중요한 포수와 유격수는 더 높은 조정치를 받고, 보다 덜 중요한 1루수나 좌익수는 낮은 조정치를 받음.
5) 리그 조정 및 시즌 조정(League Adjustment & Replacement Level)
- 리그 평균 대비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조정
- 대체 선수의 기준(Replacement Level)을 설정해 해당 선수의 순 기여도를 계산
리그 조정의 예) KBO와 MLB의 리그 수준은 달라 KBO에서 WAR 4를 기록한다고 MLB에서 동일한 수치를 기록한다고 볼 수 없음. 이에 리그 조정이 필요.
시즌 조정의 예) 매 시즌 마다 여러 환경으로 인해 타고투저 시즌이 될 수도 있고, 투고타저 시즌이 될 수도 있으므로 대체 선수 기준의 조정이 매 시즌 필요.
WAR 간략화된 기본 수식
WAR = (공격 기여도 + 수비 기여도 + 주루 기여도 + 포지션 조정 + 리그 조정) ÷ 승리 기여 변환치
투수 WAR 계산 방식
1) 실제 실점 기반 방식(bWAR, Baseball Reference 방식)
실제 실점 기반 방식은 투수가 실제로 허용한 실점을 중심으로 계산하며, RA9(9이닝당 실점)을 기본 지표로 사용합니다. 팀 수비의 영향을 포함하여 계산하지만 수비 기여 점수(DRS)를 통해 보정합니다.
해당 방식의 장점에는 경기의 실제 결과를 기반으로 해서 투수가 경기에서 기록한 직접적인 성과를 반영하고, 수비 지원이 좋았던 투수와 그렇지 못했던 투수를 구분하려고 수비 기여 보정을 적용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외적인 요소(운, 수비 지원, 구장 특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과 투구 기록이 동일한 두 투수 중 한명은 강력한 수비를 가진 팀에서 뛰고 다른 한명은 약한 수비를 가진 팀에서 뛰었다면 bWAR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FIP 기반 방식(fWAR, FanGraphs 방식)
FIP 기반 방식은 투수의 FIP(Fielding Independent Pitching)를 중심으로 계산하고, 실제 실점 대신 예상 실점을 기반으로 계산합니다. FIP라는 지표가 수비와 무관한 투구 지표이기에 fWAR 또한 삼진(K), 볼넷(BB), 피홈런(HR) 등 수비와 무관한 투수의 성과만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FIP 기반 방식의 장점으로는 팀 수비의 영향을 배제하여 투수의 순수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과 투수 통제하에 있는 지표를 반영하므로 더 공정한 평가가 가능한 점입니다. 하지만 실제 실점과 괴리가 있을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투수가 많은 피안타를 허용했지만 그것이 행운이나 불운으로 인한 것이라면 WAR이 부정확해질 수도 있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투수 WAR 계산할 때 실제 경기 결과를 더 중시한다면 실제 실점 기반 방식(bWAR)을, 투수 자체의 순수한 능력을 평가하고 싶다면 FIP 기반 방식(fWAR)을 선택하면 되는데요. 전문가들은 두 가지 방식 모두 참고하여 투수의 기여도를 다각도로 분석한다고 합니다.
WAR을 구하는 공식은 복잡할지라도 개념은 이해하기 쉽고, 적용하기 편하기 때문에 가장 핫한 지표라고 할 수 있어 연봉 책정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체 선수의 기준이 애매모호하며, WAR 지표에서 수비력은 영향을 많이 못 끼치기 때문에 수비력이 뛰어난 선수들에게 불리한 지표이기도 합니다.
[알쓸야잡] 2편 - 클래식 스탯 용어 정리
[알쓸야잡] 2편 - 클래식 스탯 용어 정리
알아두면 쓸모 있는 야구 잡학 사전 2편 대중적으로 많이 쓰는 클래식 스탯 용어 정리입니다. 클래식 스탯에 속하는 타자와 투수의 스탯 중 주요 스탯을 정리해서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alsgur6522.tistory.com
[알쓸야잡] 4편 - wRC+(조정 득점 생산력)
[알쓸야잡] 4편 - wRC+(조정 득점 생산력)
wRC+란 무엇인가? – 타자의 공격력을 평가하는 궁극적인 지표현대 야구에서는 선수의 가치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가 사용됩니다. 그중에서도 wRC+(Weighted Runs Created Plus)는 타자의
alsgur6522.tistory.com
'알쓸야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쓸야잡] 6편 - FIP(수비 무관 평균자책점) (6) | 2025.02.03 |
---|---|
[알쓸야잡] 5편 - Park Factor(파크 팩터) (12) | 2025.01.29 |
[알쓸야잡] 4편 - wRC+(조정 득점 생산력) (18) | 2025.01.24 |
[알쓸야잡] 2편 - 클래식 스탯 용어 정리 (16) | 2025.01.20 |
[알쓸야잡] 1편 - 클래식 스탯(Classic stats) vs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 (12) | 2025.01.20 |